코로나19 확산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잡힐 만하면 다시 고개를 들고 겨우 진정되는가 싶으면 또 다른 예상치 못한 곳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백신이 개발되어야 궁극적인 해결이 될 것이라고 한다. 그때까지는 마스크 착용이 우리 삶의 일부가 될 것 같다.
그런데 여름이 다가오면서 한 가지 새로운 문제가 떠오르고 있다. 날씨가 더워지면 아무래도 사람들이 마스크 쓰는 것에 갑갑함을 느낄 것이고, 마스크 쓰는 습관이 느슨해지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이다.
코로나19 비말 차단, 덴탈 마스크로도 충분하다.
날씨가 더울 때 KF94나 KF80 마스크를 쓰면 갑갑한 게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비말 방지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더운 날씨에도 편안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KF-AD라는 비말 차단용 마스크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또 다른 대안이 있다. 우리가 흔히 수술용 마스크라고도 부르는 덴탈 마스크가 바로 그것이다. 맞다. 서너 개의 가로 주름이 있는 바로 그 마스크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수술용 마스크나 덴탈 마스크도 일상생활 중에 대화 상대의 침방울을 충분히 막아낼 수 있다고 말한다. 생각해보면 이는 당연한 사실이다. 외과 의사가 수술을 집도하거나 치과 의사가 치과 치료를 할 때 마스크를 써야 하는 상황은 일상생활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오염 물질 방어 성능이 보장되어야 하니까 말이다.
한편,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수술용 마스크보다 덴탈 마스크가 좀 더 편리하다. 외과 의사들이 수술 집도 시에 착용하는 수술용 마스크는 좌우 상하 총 4개의 끈이 달려서 이것을 머리 뒤에서 묶게끔 되어 있고, 치과 의사들이 쓰는 덴탈 마스크는 좌우에 고무 밴드가 달린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도 덴탈 마스크다.
어떤 마스크를 쓰는 지만큼 중요한 게 올바른 방법으로 쓰는 것이다. 오늘은 덴탈 마스크를 올바르게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어서 마스크 착용 시 꼭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덴탈 마스크의 위아래 확인 방법
덴탈 마스크를 자세히 살펴보면 한 줄로 딱딱하게 도드라져 있는 부분이 보인다. 여기에는 철사가 들어있다. 마스크를 썼을 때 이 철사 부분을 콧잔등에 위치시키고, 철사가 없는 쪽을 턱 방향으로 가게 해야 한다. 그런 다음에 철사를 코 윤곽에 따라 밀착하여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맞춘다.
덴탈 마스크의 안팎 구분 방법
덴탈 마스크의 위아래를 확인했으면, 이제 안쪽과 바깥쪽을 확인할 차례다. 여기서 안쪽은 얼굴에 닿는 방향을, 바깥쪽은 마스크를 썼을 때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그런데 이 마스크의 안팎을 구분하는 데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곤 한다. 심지어 잘못된 방법이 정답인 것처럼 인터넷에 떠다니고 있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마스크 안팎을 구분하는 잘못된 방법
잘못된 정보의 대표적인 예가 덴탈 마스크에 고무 밴드가 부착된 곳이 마스크 앞쪽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방법을 주장하는 이들은 고무 밴드 부착 부위가 앞쪽에 있을 때 마스크 테두리까지 뒤로 당겨서 볼에 밀착된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든다. 하지만, 고무밴드가 마스크 앞과 밖 중에서 어느 쪽으로 향하는지는 마스크의 안면 밀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다른 잘못된 방법 가운데 하나는 마스크 앞쪽에 상표가 올바로 보이게끔 써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아마도 제조사가 마스크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상표를 새겼다고 보는 것 같다. 하지만 이 방법도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파란색? 흰색? 색깔로 구분하기
그렇다면 덴탈 마스크 양면의 색깔을 보고 앞뒤를 구분하는 방법은 어떨까. 흰 면을 얼굴 쪽으로, 파란 면을 바깥쪽으로 쓰자는 방법이 그것이다. 이 방법에는 나름의 합당한 이유가 있다. 방수 효과가 있는 파란 면은 외부의 침방울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고, 반대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의 흰 면은 마스크 착용자가 내쉬는 숨에 포함된 습기를 일부 흡수하여 마스크 안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게 그 요지다.

이 방법은 그 자체만 놓고 보면 옳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다. 요즘 시중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마스크들이 출시되고 있다. 어떤 것은 양면 모두 흰색으로 되어있고, 최근에는 검은색으로 된 마스크도 눈에 띈다. 이 마스크들을 표준적인 덴탈 마스크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이런 마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앞뒤 구분 방법이 있으면 좋을 것이다.
정답은 주름의 방향으로 구분하기
가장 정확한 마스크 안팎 구분 방법은 주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밖에서 보았을 때 주름의 튀어나온 방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면 된다. (그림 참고) 바깥쪽에서 보았을 때 주름의 들어간 쪽이 위를 향하면, 외부의 오염물질이 그 안에 고일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그리고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이 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여러 마스크를 조사해보니 흰 면과 파란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는 전부 주름이 있는 마스크였다. 그리고 그 마스크들을 위의 방법에 따라 쓰면, 예외 없이 파란 면이 바깥으로 향하게 되어 있었다. 주름 방향을 참고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면, 색깔로 구분하는 방법도 저절로 충족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뿐만 아니라 주름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은 요즘 시중에 나와 있는 양면이 흰색이거나 검은색인 마스크를 쓸 때도 적용할 수 있다.
마스크를 쓸 때는 코도 가리자.
마지막으로, 평소 주변에서 마스크를 쓰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아쉽게 느낀 점 하나를 나누며 오늘 글을 마무리하겠다. 요즘 날씨가 더워지면서 코를 덮지 않고 마스크를 쓰는 분이 적잖이 눈에 띈다. 그런데 이렇게 마스크로 입을 가리면서 코를 가리지 않으면, 자기 자신이 배출하는 비말은 막을 수 있지만 정작 남이 배출할지 모르는 비말은 코를 통해 받아들일 수 있다. 기왕 쓴 마스크라면 올바른 착용법으로 남도 지키고 자기 자신도 지킨다면 더 좋지 않을까.
철저한 마스크 쓰기는 손 씻기, 거리 두기와 함께 현재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코로나19 예방법이다. 우리들 한 사람 한 사람이 올바른 방법으로 마스크 착용을 실천해 나갈 때 마스크 없이 다닐 수 있는 날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안녕하세요. 남겨주시는 글 정말 잘 읽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올바른 마스크 쓰기에 대한 자세하고 정확한 글을 보고 더 많은 분들이 읽고 올바른 정보대로 착용하셨으면 하는 바램에서 제가 판매하는 덴탈마스크 상세페이지에 출처를 밝히고 글 일부를 수록하고 싶은데 혹시 가능할지 먼저 허락을 구하고자 글 남깁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 출처를 명시한다면 얼마든지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표시에는 원문으로 연결되는 링크도 포함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링크 확실히 표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