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흔히 사용되는 일회용 마스크의 앞뒷면을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덴탈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일부 미세먼지 마스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이러한 일회용 마스크를 사용할 때 앞 뒷면을 구분하는 것과 관련해서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 그 중에는 다음과 같이 틀린 방법들도 있습니다.
- 상표를 보고 앞뒷면을 확인하는 방법
- 고무줄이나 고정끈의 부착 방향을 보고 확인하는 방법
- 원칙적으로 틀린 방법은 아니지만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것도 있습니다.
- 흰 면을 얼굴 쪽으로, 파란 면을 바깥 쪽으로 쓰는 방법
- 이 방법의 근거를 살펴보면, 부분적으로 방수 효과가 있는 파란 면은 외부의 침방울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고, 반대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의 흰 면은 마스크 착용자가 내쉬는 숨에 포함된 습기를 일부 흡수하여 마스크 안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 하지만, 시중에 나와 있는 마스크 중에는 양면이 모두 흰색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고, 최근에는 전체가 검은색으로 이루진 것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 흰 면을 얼굴 쪽으로, 파란 면을 바깥 쪽으로 하는 방법은 그 자체로 타당하긴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 흰 면을 얼굴 쪽으로, 파란 면을 바깥 쪽으로 쓰는 방법
- 마스크 착용과 관련한 이처럼 다양한 기준은 쉽게 숙지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해 마스크를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하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 현직 외과 의사로서 일회용 마스크를 올바로 착용하는 쉽고 간단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 먼저, 아래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준비
- 일회용 마스크
- 3~4개의 가로 주름이 있는 마스크입니다.
- 마스크의 코 부위에 철사심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방법
- 철사심이 내장된 쪽이 마스크의 위쪽입니다.
- 마스크를 폈을 때 가로 주름을 확인합니다. (그림 참조)
- 가로 주름의 움푹 패인 쪽이 위를 향하는 쪽이 마스크의 내부입니다.
- 가로 주름의 움푹 패인 쪽이 아래를 향하는 쪽이 마스크의 외부입니다.
- 철사심의 위치와 가로 주름의 방향을 확인하여 안면에 밀착하여 착용합니다.
참고
- 외부 가로 주름의 움푹 패인 쪽이 위를 향하면, 외부의 오염물질이 패인 쪽에 고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면 기억하기 쉽습니다.
- 주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해도 흰 면과 파란 면을 기준으로 하는 착용법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 직접 시중에 나와 있는 여러 마스크를 조사한 결과, 흰 면과 파란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는 전부 주름이 있는 마스크였습니다.
- 흰 면과 파란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위의 방법에 따라 쓰면, 예외 없이 파란 면이 바깥으로 향하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주름에 따른 기준을 참고한다면 흰 면과 파란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쓸 때 마스크의 파란 면은 항상 바깥으로 향하게 될 것입니다.
- 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을 남기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이 곧 이어집니다.)
이 글은 2022년 7월 11일에 마지막으로 검토되었습니다. 만약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제 마스크는 안밖 모두 주름이 상하대칭꼴로, 철사쪽은 주름이 아래로 쳐지고 철사아닌쪽은 주름이 위로 쳐져있는데, 이때는 안밖 구분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마스크가 얼굴에 최대한 밀착해야한다는걸로 봤을 때, 줄같은 부수적인 것들이 붙어있는 쪽이 바깥인가요?
철사 쪽(위쪽)의 주름이 아래로 튀어나오는 면이 바깥입니다.
횬재 착용중인 마스크가 철심을 기준으로 착용했을때 주름이 위로 향합니다.. 주름이 아래로 향해야한다고해서 뒤집으면 겉면을 착용하게되서 그냥 버리긴 그렇고해서 주름 상관없이 착용하고 있는데 크게 문제돨까요? 주름방향이나 끈달린쪽 말고 잘 보시면 광택이 있고 없고 차이가 있습니다 광택있는쪽이 겉면입니다
어떤 내용에서 보니까 부드러운면이 안쪽이라는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쓰면 부드러운 면이 바깥으로 향합니다. 이럴땐 어떤식으로 쓰는게 맞을까요??
‘부드럽다’는 느낌은 무척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마스크 앞뒤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주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확인하시는 걸 권장합니다.
아마도 중국산 마스크 ㅠㅠ…
끈이 있는부분이 파란부분
끈이 없는부분이 하얀부분이라
파란부분이 겉으로 가게 쓰면될것같은데
주름이 위로 향하네요ㅜㅠ
주름이 아래로가게할려면 끈이 안쪽으로,하얀부분이 바깥쪽으로향하는데ㅠㅠ주름이 아래로가도록 파란부분을 안에쓰는게나을까여…?,,,흠 ㅠㅠ
제가 직접 보지는 못하였으나, 일부 마스크 가운데 본문의 그림처럼 쓰면 파란색이 안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는 종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마스크도 위의 그림에 안내된 대로 주름의 방향에 따라 쓰는 걸 권장하고 싶습니다.
부직포 마스크 쓰는 방법 찾다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제가 받은 마스크도 파란 면 흰 면이 있는데.. 파란면을 바깥쪽으로 하면 주름이 패인 방향이 위로 올라가게 되네요 재질도 디자인도 파란쪽이 바깥쪽이 맞는 거 같은데
이런 경우엔 재질 따라 파란 쪽을 바깥으로 쓰는게 좋을까요 주름 방향대로 흰색을 바깥 쪽으로 쓰는 게 좋을까요
추정컨대 마스크 설계할 때에 충분한 고려가 부족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마스크 주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착용하실 것을 권고합니다.
안녕하세요.
마스크 관련 좋은 정보라 퍼가도 괜찮을까요?
물론입니다. 출처 표기하시면 얼마든지 활용 가능합니다.
마스크는 제조회사마다 제조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마스크의 특성에 따라 방향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얼굴면에 닿는 부위의 재질이 무엇인가에 따라 선택해야 될것으로 보입니다.
네. 맞습니다. 마스크 재질에 따른 차이도 고려해야 할 점입니다. 최근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더 조사해서 본문에 추가하였습니다.
일회용마스크 주름있는 마스크인데요.마스크 한쪽은 재질이 엠보모양으로 번들거리고 한쪽은 매끄럽지않아요.그럼 제조사마다 끈이나 주름방향이 다르게 나온다면 젤먼저 고려할께 원단 재질의 어느쪽이 입이닿는쪽으로 오는가가 제일 우선적으로 맞아야 되는거 아닌가요?
마스크의 파란 면과 흰 면은 그 특성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최근에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본문에 추가하였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