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소독제를 직접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손 소독제란 에탄올 62%가 포함된 젤 타입으로 손에 조금씩 덜어서 물 없이도 쓸 수 있는 것입니다. 병원이나 식당 혹은 아이 키우는 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원래는 약국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물품입니다.
하지만 요즘 이 흔하디 흔한 손 소독제가 코로나19(COVID-19)의 여파로 심각한 품귀 현상을 빚고 있습니다. 기존에 판매되던 제품들은 현재로서는 구입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구입할 수 있더라도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에 약국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기본 재료로 집에서 쉽게 만들어 쓸 수 있는 손 소독제 표준 제조법을 정리하여 공개합니다. 특히 이 방법은 별도의 계량 도구 없이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간편합니다. 현직 의사이자 딸 아이를 키우는 아빠로서 충분한 검토를 거치고 정리한 내용이니 필요한 분들은 안심하고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준비 재료
- 빈 병
- 1~2L 용량의 유리병 혹은 패트병을 권장합니다.
- 내부가 잘 보이는 투명한 것으로 준비합니다.
- 83% 소독용 알코올
- 만들고자 하는 손 소독제 총량의 75%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1L의 손 소독제를 만든다면 최소한 750mL의 83% 소독용 알코올을 준비합니다.
- 증류수
- 만들고자 하는 손 소독제 총량의 12.5%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1L의 손 소독제를 만든다면 최소한 125mL의 증류수를 준비합니다.
- 글리세린
- 만들고자 하는 손 소독제 총량의 12.5%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1L의 손 소독제를 만든다면 최소한 125mL의 글리세린을 준비합니다.
- 소분 용기
- 분무식이 아닌 펌프식 뚜껑이 장착된 용기를 선택합니다. 분무식은 향수나 방향제 등에 사용되는 방식이고 펌프식은 샴푸나 로션 등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그림 참고)
- 만약 분무식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83% 소독용 알코올을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 휴대용은 200mL 내외, 비치용은 500mL 내외를 추천합니다.
- 분무식이 아닌 펌프식 뚜껑이 장착된 용기를 선택합니다. 분무식은 향수나 방향제 등에 사용되는 방식이고 펌프식은 샴푸나 로션 등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그림 참고)

만드는 방법
- 빈 병을 깨끗이 씻어서 건조시킵니다.
- 필요한 손 소독제의 총량만큼 빈 병 바깥에 펜으로 표시합니다. (그림에서 ①)
- 용기 바닥과 ①의 1/2 위치에 펜으로 표시합니다. (그림에서 ②)
- ①과 ②의 1/2 위치에 펜으로 표시합니다. (그림에서 ③)
- ①과 ③의 1/2 위치에 펜으로 표시합니다. (그림에서 ④)
- 83% 소독용 알코올을 ③까지 채웁니다.
- 증류수를 ③부터 ④까지 채웁니다.
- 글리세린을 ④부터 ①까지 채웁니다.
- 빈 병에 재료를 모두 채운 후 뚜껑을 닫고 잘 흔들어줍니다.
- 목적에 맞는 소분 용기에 나누어 담습니다.
참고 사항
- 시중에서 판매되는 소독용 알코올은 100% 에탄올이 아니라 83% 에탄올 수용액입니다.
- 83% 소독용 알코올을 증류수, 글리세린과 위의 배합대로 희석하면 알코올의 최종 농도는 62.25%가 됩니다. 이는 시중에 판매되는 젤 타입 손 소독제의 농도와 정확히 같은 수준입니다.
- 글리세린은 보습 효과를 위해 첨가합니다.
- 83% 소독용 알코올, 증류수, 글리세린은 약국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사용 기한은 재료들에 표시된 사용 기한 가운데 가장 짧은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시: 83% 소독용 알코올의 사용기한이 2021년 6월 1일이고 글리세린의 사용 기한이 2021년 12월 1일이면, 손 소독제의 사용 기한은 2021년 6월 1일로 합니다.)
추가 질문이나 의견은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내용상의 오류 지적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밖에 다니는 것조차 부담스러운 시기입니다. 아무쪼록 별 탈 없이 건강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다음 글이 곧 이어집니다.)
이 글은 2022년 7월 11일에 마지막으로 검토되었습니다. 만약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용 저 비율로 만들었는데 뭔가 손에 이물감이 남습니다(글리세린 같아요ㅠㅠ 뭔가 좀 미세하게 끈적이는 느낌..?) 글리세린 진짜 조금만 넣었는데… 제가 덜 섞어서 그런걸까요?
글리세린의 제품 품질에 따라서 다소 다른 결과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물감이 있다면 재료들이 충분히 섞이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다만.. 시판 소독에탄올 용액이 100ml 중 83ml 의 에탄올로 표기되어 있는데 제조시 사용되는 에탄올의 순도가 95-6%라고 하여, 즉 저 표기가 순도을 감안한 에탄올의 비율인지 아니면 일부 불순물(?)이 들어간 에탄올인지(즉 그렇다면 에탄올 실 비율은 80%정도? 되는 듯 해서요…) 문의드려도 될까요 사멸 적정 농도가 생각보다 예민한 것 같아서 고민스럽습니다
에탄올 수용액은 주변의 습도나 기온에 따라 분사되는 순간부터 미세하게 실시간으로 농도가 변합니다. 그러므로 제시된 농도는 참고치로 활용하고 약간의 농도차는 무시하여도 무방합니다.
위에 알려주신 에탄올 양에다가 증류수와 글리세린을 합친양을 수딩젤로 대체해도 괜찮을까요?
에탄올 농도가 중요합니다. 부재료 조성은 다소 달라져도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글을 읽다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70-75%의 손소독제를 만들고 싶은데,
무수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70~75g의 무수에탄올 + 25~30g의 첨가물
이렇게 섞는 것이 맞나요?
아니면 에탄올 70ml + 기타첨가물 30ml 이렇게 하나요?
70~75%라고 했을 때 그것이 질량의 비율이면 g단위로 하면 되고 부피의 비율이면 mL단위로 하면 됩니다. 그런데 에탄올 수용액으로 최적의 소독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70~75%는 질량의 비율이고, 이를 에탄올의 비중을 고려해 부피의 비율로 환산하면 시중에 나와있는 에탄올 소독제와 같은 83% 정도가 됩니다. 다만 젤 타입 손 손소독제는 피부 손상 위험을 고려하여 부피 기준 62% 정도가 권장됩니다.
83프로 소독용에탄올은 스프레이로 그냥사용하면 되는거죠? 냄새가 강해서 정제수를 섞고싶은데 살짝만 섞어도 비율때매 효과가 줄어들까요?
스프레이로 사용할 목적이라면 83% 소독용 에탄올에 정제수를 섞지 말고 그대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99%무수에탄올 소독스프레이 만드는 방법도 올려주세요. 소독용으로 희석된 에탄올을 구매할수가 없어요 ㅠㅠ
연구에 따르면 스프레이 즉 분무식으로 사용 시 70~75% 정도에서 살균력이 가장 뛰어나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건 질량 기준입니다. 부피 기준으로 하면 시중에 나와 있는 83% 소독용 에탄올처럼 무수에탄올:증류수의 비율을 83:17 정도로 해서 만드시면 됩니다.
근데 본문 설명엔 스프레이로 사용 시 83% 알콜을 그냥 스프레이 용기에 넣어 사용 허라고 하셨는데요 …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전 손에 닿는 것도 소독 하고 , 손에도 분사 해서 사용 하고 싶습니다.
손에 닿는 곳을 소독하는 용도로는 83% 에탄올을 분무기에 담아서 뿌리면 되지만 이를 손에 직접 분사하는 것은 지속적인 사용 시 피부 손상 우려가 있습니다. 손에 직접 사용할 경우에는 본문에 나와있는 배합을 참고하여 젤 타입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에탄올 80% 소독제를 만들고 싶습니다
증류수가 없을 경우
(99.9 무수에탄올) 80%+ (글리세린 등 첨가물) 20%
이렇게 해도 에탄올 80% 가 되나요?
아니면, 에탄올 희석은 첨가물과 상관없이
증류수(물)로만 하는것인가요?
(무수에탄올) 80%+(증류수)20%=에탄올 80%로 희석하는게 먼저고,
글리세린이나 구연산 등을 첨가해도 에탄올 80%는 유지되는건가요?
80% 에탄올 손 소독제를 만들려면 무수에탄올:기타첨가물의 비율을 8:2로 하면 됩니다.
무수에탄올로 에탄올 80% 손소독제를 만들려고 합니다
증류수가 없을 경우
(무수에탄올 8) + (글리세린 등 첨가물 2)
이렇게 해도 에탄올80%로 희석이 되나요?
아니면, 증류수로 무수에탄올을 80%로 희석이 먼저고
그후에 글리세린 등 첨가물을 넣는건가요?
에탄올80%가 유지되나요?
무수에탄올은 말 그대로 수분이 없는 100% 에탄올을 말합니다. (현실적으로는 순도 100%로 만드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100%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80% 에탄올 손 소독제를 만들려면 무수에탄올:기타첨가물의 비율을 8:2로 하면 됩니다.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건강 하세요!
이렇게 만들면 잴타입이 되나요?
전 액체 상태로 밖에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젤 타입은 말랑말랑한 젤리 같은 성상이 아니라 손에 퍼 바르기에 좋은 정도의 점도를 말합니다. 위의 제조법을 따르면 딱 그 정도의 적당한 점도의 손 소독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